인기 글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맥거핀 뜻 효과 의미 : 영화에서의 역할
◉ 스토리의 핵심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큰 의미가 없는 요소
◉ 주인공과
등장인물들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 부여 장치
◉ 영화, 소설, 드라마 등
다양한 스토리텔링에서 활용됨
맥거핀의 예시
<인디아나 존스> 시리즈 - '성배'나 '잃어버린 성궤'
<미션 임파서블> 시리즈
- '비밀 서류' 또는 '핵무기 코드'
<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> -
'돈이 든 가방'
<펄프 픽션> - '슈트케이스 안의 빛나는 물건'
맥거핀은 이렇듯 이야기 초반부에 중요한 요소처럼 보이지만 결국 스토리 진행을 위한 작은 도구였던 것들을 말합니다.
맥거핀의 기원 : 히치콕
맥거핀(MacGuffin) 용어의 유래
맥거핀이라는 용어는 영국의 영화감독 알프레도 히치콕에 의해 유명해졌습니다. 그는 맥거핀을 '이야기의 추진력을 제공하지만 본질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요소'라고 정의했습니다.
⬝ 1930년대 영화에서 사용되기 시작
⬝ 히치콕이 '맥거핀'이라는 개념을
대중화함
⬝ 서스펜스 영화와 미스터리 장르에서 특히 많이 사용됨
맥거핀의 핵심 : 관객이 집중하게 만들지만 결국 본질은 아닌 것
맥거핀의 특징과 역할
맥거핀의 특징
⬝ 초반에는 중요하게 보이지만, 점점 관심에서 멀어짐
⬝ 등장인물들의 동기와 갈등을
형성하는 역할
⬝ 관객을 집중시키고 이야기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
맥거핀의 역할
캐릭터의 행동을 유발
등장인물들이 특정 목표를 추구하도록 만듦
예 : 미션 임파서블에서 비밀 파일을 쫓는 톰
크루즈
관객의 흥미를 끌어올림
예 : 펄프 픽션의 슈트케이스 안의 물건
스토리의 진짜 주제를 감추는 기능
맥거핀을 쫓는 과정에서
등장인물들의 내면 변화나 주제가 드러남
예 :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돈 가방 -> 실제
주제는 인간의 본성
맥거핀과 서사 구조 : 왜 효과적인가?
◉ 이야기의 초반부를 강하게 끌어당기는 역할
◉ 캐릭터들의 동기와 행동을
합리화하는 기능
◉ 관객을 서사에 몰입시키고, 긴장감을 유지하는 효과
맥거핀과 다른 서사 장치 비교
개념 | 의미 | 예시 |
맥거핀 | 스토리를 이끄는 요소지만 중요하지 않은 것 | <미션 임파서블>의 비밀 파일 |
첵코프의 총 | 초반부 등장한 요소가 후반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| <레이디 버그>의 담배 |
레드 헤링 | 독자나 관객을 속이기 위한 미끼 | <셜록 홈즈>의 가짜 단서 |
댓글
댓글 쓰기